< default user 및 pconsole, esaadmin에 대하여 > 링크 : http://publib.boulder.ibm.com/infocenter/aix/v6r1/topic/com.ibm.aix.security/doc/security/remove_default_usr_accts.htm 1. 절대 삭제해서는 안되는 User정리 root,daemon,bin,sys,adm ,invscout,nobody 이러한 유저는 사용되는 빈도가 높고, 이것들이 owner로 되어 있는 파일도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삭제하면 안됩니다. 덧붙여서, 이러한 유저가 owner가 되고 있는 파일의 owner를 강제적으로 변경할…
KEEPALIVE network parameter
아래의 기능을 KEEPALIVE라고 합니다. 그러면 no에 저렇게 설정만 한다고 모든 connection에 다 적용되냐 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socket을 creation 하고 그 socket의 option을 주게 되어있는데, setsockopt() 라는 system call을 사용합니다. 여기에서 KEEPALIVE라는 option을 준 세션에 한해 아래의 숫자대로 keepalive packet이 전송됩니다. 이 socket option은 netstat -Aon 으로 볼 수 있고, 아래 두개의…
aix filesystem limit
하나의 파일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개수는 inode수와 관련됩니다. 여기서 디렉토리는 unix에서는 파일의 개념과 거의 비슷하므로 “파일”로 통칭하겠습니다. 하나의 파일은 하나 이상의 inode를 가집니다. 따라서 하나의 파일시스템내에는 가능한 최대 inode수를 초과하여 파일을 만들 수 없습니다. JFS의 크기와 inode의 관계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nbpi Fragment size in bytes Maximum size in 512-byte blocks…
하나의 파일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개수는 inode수와 관련됩니다.
하나의 파일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개수는 inode수와 관련됩니다. 여기서 디렉토리는 unix에서는 파일의 개념과 거의 비슷하므로 “파일”로 통칭하겠습니다. 하나의 파일은 하나 이상의 inode를 가집니다. 따라서 하나의 파일시스템내에는 가능한 최대 inode수를 초과하여 파일을 만들 수 없습니다. JFS의 크기와 inode의 관계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nbpi Fragment size in bytes Maximum size in 512-byte blocks 512 …
[aws] https 셋업 – certification manager
Aws ec2를 사용하면 https certification 비용이 무료 이다. 다만 load balancer와 route53을 사용해야 한다. (나의 경우는 ssl certification을 comodo같은데서 구매해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보다 관리는 쉽지만, 비용은 훨씬 비싸게 나왔다. 그리고 로드밸런서를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데, ec2 instance를 하나 사용하는 내 입장에서는 필요없는 컴포넌트를 더 써야 하는 것이었다. 자신의 서비스에 따라 적게 나오는 사람도 있다고들 하는데.. 내…
process and thread =>power 7 system
Agenda Unit 1 – Processor Resources Unit 2 – Process Management Framework Unit 3 – Scheduling and Dispatching Unit 4 – Monitoring Processor Utilization Unit 5 – Synchronization Mechanisms Unit 1. Processor Resources Big Picture POWER7 System power7 processor 의 multi-core architecture 는 throughput(처리량),efficiency(효율),scalability(확장성),RAS 등의 기술 리드를 하고 있다. 또한 processor와 다른 element,…
[HA] pd example
—————————- nfs를 cross mount가 문제가 없음. clinfo로 보면 nfs때문에 retry하면서 hacmp start가 안됨. sync는 됨. —————————– EVENT로 grep해서 대충 무슨일 있었는지 좀 보고요.. 아마 rg_move를 진행중에 그런것 같아 보이고요.. 원래는 정확한 test시간을 물어봐야 합니다만.. Nov 7 16:26:41 EVENT START: site_up site2 Nov 7 16:26:41 EVENT START: site_up_local Nov 7 16:26:41 EVENT COMPLETED: site_up_lo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