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적 설치
- technical port에 cable연결하여
노트북에
연결
-
- ip는 dhcp로
자동
할당됨
-
-Connect your laptop to the Technician port with DHCP mode
( IP
addr
192.168.0.X will be assigned )-Open Browser : heep://192.168.0.1 ( will be re-directed automatically )
-follow the GUI Screen Guide
- 로그인 superuser/passw0rd
- initialize 전 san zonning을
수행해야
한다.
- svc zone을
만든
후에야
비로소 svc 장비들끼리 cluster를
구성
할
수
있게
된다.
-
-
[SVC initialize ]
- – initialize할때 cluster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node1,2를
묶어서
하나의 cluster로
만든다. 이때, main node가 local로
잡히고
다른
노드가 partner로
잡혀야
한다. 만일
다른
노드가 candidate(후보)로
잡혀
있으면
이를 partner로
변경
후 cluster를
묶어야
한다. 이를
위해 service gui로
로그인이
필요
할
수도
있따. management gui와 service gui가
다르다. 마치 xiv 의 admin gui와 technicial gui가
다르듯이… service gui에
어떻게
접속
하는지
모르겠지만
추측컨데 technical port로
접속하는게 service gui일것
같다. 아마 cluster를
만들기
전에 svc_internal san zonning을
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 -initialize할때 ntp를
선택
하라고
하는데
만약 ntp를
쓰려면 linux ntp를
써야
한다. svc는 linux ntp만
지원
된다.
- fw update는 testutil 수행
후 fw update수행
[SVC FW update step]
( 60 ~ 90분
걸림)
1.setting ->system update->test ->test fileset 선택
2.setting->system update->update 및 test
-> test file set선택
-> update fileset 선택
3.진행
– san zonning 에따라
너무
많은 port 가
조닝되어
있으면 warning이
올라올
수
있는데
무시하고
제개
누르면
잘
수행됨
4. 대략 5~10분후
확인
누르는 popup이
올라옴
누른
후 60분
정도
진행됨.
[SAN director fw update]
- san 에 windows를
붙인다. default ip가
있는도
보통(10.77.77.77)
-
director san에는
가상화
지원
앤진이
들어
있어서
이를 disable해줘야
한다.
- #afosconfig -disable off (???)
- #fosconfig –disable vf
- #ipaddrset -chassis
- #ipaddrset -cp 0
- #ipaddrset -cp 1
- #afosconfig -disable off (???)
- windows에 FTP server를
구성한다.
- #firmwaredownload -s
- #ftp server ip
- firmware가 update진행
될
것이다. 완료
되면 fw level확인
- #firmware show 안되면
붙여서
수행
[SAN zonning for SVC]
svc 의 fc (pci 형태) 중
하나(2포트) 는 dedicate로 svc internnal connection용으로
사용된다.
san에서
이 2포트를 (node가 2개니
총 4포트가
된다.) 묶어서 zone을
만들면 svc들이
서로를
인식
하게
된다.
#zonecreate “SVC_INTER”, “1,3;2,4”
#cfgcreate “SVC_SAN1” “SVC_INTER”,”SVC_EMC”
#cfgenable
#cfgsave